지속가능
-
환경을 생각한 그린리모델링, 지금 알아보겠습니다.정부소식 2023. 6. 1. 16:04
환경을 생각한 그린리모델링, 지금 알아보기 그린리모델링이란 무엇인가요? 그린리모델링은 건물뿐만 아니라 인프라, 도시재생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확대되고 있는 개념입니다. 그린리모델링은 단순히 건물을 친환경적으로 만드는 것이 아니라, 건물과 주변 환경, 사람과의 상호작용 등을 ganzheitslisch(holistic)하게 고려한 건축 기법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설계된 건물은 에너지 소비를 줄이고, 재생에너지를 도입하여 환경 친화적인 건축물을 만들어내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왜 그린리모델링이 필요한가요? 환경 문제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건설 분야에서도 그린리모델링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그린리모델링을 이용하면, 에너지 효율과 환경 친화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건축 분야의 지속 가능..
-
탄소중립과 기후변화의 해결방안에 대해 알아보자정부소식 2023. 5. 23. 10:17
탄소중립과 기후변화 해결방안 탄소 중립(Carbon Neutrality)은 기업, 기관 또는 국가가 발생시키는 탄소 배출량을 줄이고 남은 배출량을 완화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여, 최종적으로는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과 제로 탄소 배출량을 균형을 이루는 상태를 말합니다. 기후 변화로 인한 문제 해결을 위해 탄소 중립은 중요한 개념입니다. 다양한 해결방안 중 5가지를 알아보겠습니다. 1. 재생 에너지 확대 화석 연료 대신 재생 가능한 에너지원인 태양, 풍력, 수력, 지열 등을 활용하여 전력 생산을 증가시키는 것입니다. 이는 탄소 배출을 줄이고 에너지 전환을 지원하여 기후 변화에 대한 대응을 강화합니다. 2. 에너지 효율 개선 에너지 사용의 효율성을 개선하고 낭비를 줄이는 것입니다. 건물, 산업, 운송 등의 부문에..
-
자연공원법[시행 2022. 9. 11.]정부소식 2023. 4. 28. 14:57
[시행 2022. 9. 11.] [법률 제18909호, 2022. 6. 10., 일부개정] 제1장 총칙 제1조(목적) 이 법은 자연공원의 지정ㆍ보전 및 관리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자연생태계와 자연 및 문화경관 등을 보전하고 지속 가능한 이용을 도모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1. “자연공원”이란 국립공원ㆍ도립공원ㆍ군립공원(郡立公園) 및 지질공원을 말한다. 2. “국립공원”이란 우리나라의 자연생태계나 자연 및 문화경관(이하 “경관”이라 한다)을 대표할 만한 지역으로서 제4조 및 제4조의2에 따라 지정된 공원을 말한다. 3. “도립공원”이란 도 및 특별자치도(이하 “도”라 한다)의 자연생태계나 경관을 대표할 만한 지역으로서 제4조 및 제4조의3에..
-
목재의 지속가능한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시행 2022. 4. 11.]정부소식 2022. 12. 7. 09:33
[시행 2022. 4. 11.] [농림축산식품부령 제527호, 2022. 4. 11., 타법개정] 제1조(목적) 이 규칙은 「목재의 지속가능한 이용에 관한 법률」 및 같은 법 시행령에서 위임된 사항과 그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지역시행계획의 추진 실적 제출방법) 특별시장ㆍ광역시장ㆍ특별자치시장ㆍ도지사 또는 특별자치도지사(이하 “시ㆍ도지사”라 한다)는 「목재의 지속가능한 이용에 관한 법률」(이하 “법”이라 한다) 제7조제2항에 따른 지역시행계획의 추진 실적을 매년 1월 31일까지 산림청장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제3조(목재이용위원회의 업무) 법 제9조제2항제6호에서 “농림축산식품부령으로 정하는 사항”이란 다음 각 호의 사항을 말한다. 1. 다음 각 목의 기준의 심사 가. 법 ..
-
갯벌 및 그 주변지역의 지속가능한 관리와 복원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시행 2022. 1. 3.]정부소식 2022. 8. 18. 09:37
[시행 2022. 1. 3.] [해양수산부령 제525호, 2022. 1. 3., 일부개정] 제1조(목적) 이 규칙은 「갯벌 및 그 주변지역의 지속가능한 관리와 복원에 관한 법률」 및 같은 법 시행령에서 위임된 사항과 그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갯벌실태조사의 내용) ① 「갯벌 및 그 주변지역의 지속가능한 관리와 복원에 관한 법률」(이하 “법”이라 한다) 제8조제1항제6호에서 “해양수산부령으로 정하는 사항”이란 다음 각 호의 사항을 말한다. 1. 갯벌 및 그 주변지역(이하 “갯벌등”이라 한다)의 생태관광 및 자연휴양 현황 2. 갯벌복원사업 현황 3. 갯벌 및 갯벌생물을 활용한 연구ㆍ개발 현황 4. 갯벌의 관리 및 이용에 관한 교육 현황 5. 갯벌생물다양성의 보전과 갯벌등의 지속..
-
갯벌 및 그 주변지역의 지속가능한 관리와 복원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시행 2022. 1. 3.]정부소식 2022. 8. 8. 09:59
[시행 2022. 1. 3.] [해양수산부령 제525호, 2022. 1. 3., 일부개정] 제1조(목적) 이 규칙은 「갯벌 및 그 주변지역의 지속가능한 관리와 복원에 관한 법률」 및 같은 법 시행령에서 위임된 사항과 그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갯벌실태조사의 내용) ① 「갯벌 및 그 주변지역의 지속가능한 관리와 복원에 관한 법률」(이하 “법”이라 한다) 제8조제1항제6호에서 “해양수산부령으로 정하는 사항”이란 다음 각 호의 사항을 말한다. 1. 갯벌 및 그 주변지역(이하 “갯벌등”이라 한다)의 생태관광 및 자연휴양 현황 2. 갯벌복원사업 현황 3. 갯벌 및 갯벌생물을 활용한 연구ㆍ개발 현황 4. 갯벌의 관리 및 이용에 관한 교육 현황 5. 갯벌생물다양성의 보전과 갯벌등의 ..
-
자연공원법[시행 2022. 9. 11.]카테고리 없음 2022. 7. 7. 10:23
[시행 2022. 9. 11.] [법률 제18909호, 2022. 6. 10., 일부개정] 제1장 총칙 제1조(목적) 이 법은 자연공원의 지정ㆍ보전 및 관리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자연생태계와 자연 및 문화경관 등을 보전하고 지속 가능한 이용을 도모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1. “자연공원”이란 국립공원ㆍ도립공원ㆍ군립공원(郡立公園) 및 지질공원을 말한다. 2. “국립공원”이란 우리나라의 자연생태계나 자연 및 문화경관(이하 “경관”이라 한다)을 대표할 만한 지역으로서 제4조 및 제4조의2에 따라 지정된 공원을 말한다. 3. “도립공원”이란 도 및 특별자치도(이하 “도”라 한다)의 자연생태계나 경관을 대표할 만한 지역으로서 제4조 및 제4조의3에 ..
-
목재의 지속가능한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시행 2022. 4. 11.]카테고리 없음 2022. 5. 24. 11:05
[시행 2022. 4. 11.] [농림축산식품부령 제527호, 2022. 4. 11., 타법개정] 제1조(목적) 이 규칙은 「목재의 지속가능한 이용에 관한 법률」 및 같은 법 시행령에서 위임된 사항과 그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지역시행계획의 추진 실적 제출방법) 특별시장ㆍ광역시장ㆍ특별자치시장ㆍ도지사 또는 특별자치도지사(이하 “시ㆍ도지사”라 한다)는 「목재의 지속가능한 이용에 관한 법률」(이하 “법”이라 한다) 제7조제2항에 따른 지역시행계획의 추진 실적을 매년 1월 31일까지 산림청장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제3조(목재이용위원회의 업무) 법 제9조제2항제6호에서 “농림축산식품부령으로 정하는 사항”이란 다음 각 호의 사항을 말한다. 1. 다음 각 목의 기준의 심사 가. 법 제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