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연공원법[시행 2022. 9. 11.]정부소식 2023. 4. 28. 14:57반응형
[시행 2022. 9. 11.] [법률 제18909호, 2022. 6. 10., 일부개정]
제1장 총칙 <개정 2008. 12. 31.>
제1조(목적) 이 법은 자연공원의 지정ㆍ보전 및 관리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자연생태계와 자연 및 문화경관 등을 보전하고 지속 가능한 이용을 도모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개정 2011. 7. 28., 2016. 5. 29.>
1. “자연공원”이란 국립공원ㆍ도립공원ㆍ군립공원(郡立公園) 및 지질공원을 말한다.
2. “국립공원”이란 우리나라의 자연생태계나 자연 및 문화경관(이하 “경관”이라 한다)을 대표할 만한 지역으로서 제4조 및 제4조의2에 따라 지정된 공원을 말한다.
3. “도립공원”이란 도 및 특별자치도(이하 “도”라 한다)의 자연생태계나 경관을 대표할 만한 지역으로서 제4조 및 제4조의3에 따라 지정된 공원을 말한다.
3의2. “광역시립공원”이란 특별시ㆍ광역시ㆍ특별자치시(이하 “광역시”라 한다)의 자연생태계나 경관을 대표할 만한 지역으로서 제4조 및 제4조의3에 따라 지정된 공원을 말한다.
4. “군립공원”이란 군의 자연생태계나 경관을 대표할 만한 지역으로서 제4조 및 제4조의4에 따라 지정된 공원을 말한다.
4의2. “시립공원”이란 시의 자연생태계나 경관을 대표할 만한 지역으로서 제4조 및 제4조의4에 따라 지정된 공원을 말한다.
4의3. “구립공원”이란 자치구의 자연생태계나 경관을 대표할 만한 지역으로서 제4조 및 제4조의4에 따라 지정된 공원을 말한다.
4의4. “지질공원”이란 지구과학적으로 중요하고 경관이 우수한 지역으로서 이를 보전하고 교육ㆍ관광 사업 등에 활용하기 위하여 제36조의3에 따라 환경부장관이 인증한 공원을 말한다.
5. “공원구역”이란 자연공원으로 지정된 구역을 말한다.
6. “공원기본계획”이란 자연공원을 보전ㆍ이용ㆍ관리하기 위하여 장기적인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종합계획으로서 공원계획과 공원별 보전ㆍ관리계획의 지침이 되는 계획을 말한다.
7. “공원계획”이란 자연공원을 보전ㆍ관리하고 알맞게 이용하도록 하기 위한 용도지구의 결정, 공원시설의 설치, 건축물의 철거ㆍ이전, 그 밖의 행위 제한 및 토지 이용 등에 관한 계획을 말한다.
8. “공원별 보전ㆍ관리계획”이란 동식물 보호, 훼손지 복원, 탐방객 안전관리 및 환경오염 예방 등 공원계획 외의 자연공원을 보전ㆍ관리하기 위한 계획을 말한다.
9. “공원사업”이란 공원계획과 공원별 보전ㆍ관리계획에 따라 시행하는 사업을 말한다.
10. “공원시설”이란 자연공원을 보전ㆍ관리 또는 이용하기 위하여 공원계획에 따라 자연공원에 설치하는 시설(공원계획에 따라 자연공원 밖에 설치하는 진입도로, 주차시설 또는 공원사무소를 포함한다)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시설을 말한다.
[전문개정 2008. 12. 31.]
제2조의2(기본원칙) 자연공원은 다음 각 호의 기본원칙에 따라 지정ㆍ보전 및 관리되어야 한다.
1. 자연공원은 모든 국민의 자산으로서 현재세대와 미래세대를 위하여 보전되어야 한다.
2. 자연공원은 생태계의 건전성, 생태축(生態軸)의 보전ㆍ복원 및 기후변화 대응에 기여하도록 지정ㆍ관리되어야 한다.
3. 자연공원은 과학적 지식과 객관적 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해당 공원의 특성에 따라 관리되어야 한다.
4. 자연공원은 지역사회와 협력적 관계에서 상호혜택을 창출할 수 있도록 관리되어야 한다.
5. 자연공원의 보전 및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한 국제협력은 증진되어야 한다.
[본조신설 2020. 6. 9.]
제3조(자연공원보호 등의 의무) ① 다음 각 호의 자는 자연공원을 보호하고 자연의 질서를 유지ㆍ회복하는 데에 정성을 다하여야 한다.
1. 국가
2. 지방자치단체
3. 공원사업을 하거나 공원시설을 관리하는 자
4. 자연공원을 점용하거나 사용하는 자
5. 자연공원에 들어가는 자
6. 자연공원에서 거주하는 자
②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자연생태계가 우수하거나 경관이 아름다운 지역을 자연공원으로 지정하여야 하며, 이를 보전ㆍ관리하여 지속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전문개정 2008. 12. 31.]
제3조의2(국립공원의 날) ① 국립공원에 대한 국민의 관심과 이해를 높이기 위하여 매년 3월 3일을 국립공원의 날로 정한다.
② 국가는 제1항에 따른 국립공원의 날에 적합한 행사와 사업을 실시할 수 있다.
[본조신설 2020. 6. 9.]
제2장 자연공원의 지정 및 공원위원회
제4조(자연공원의 지정 등) ① 국립공원은 환경부장관이 지정ㆍ관리하고, 도립공원은 도지사 또는 특별자치도지사가, 광역시립공원은 특별시장ㆍ광역시장ㆍ특별자치시장이 각각 지정ㆍ관리하며, 군립공원은 군수가, 시립공원은 시장이, 구립공원은 자치구의 구청장이 각각 지정ㆍ관리한다. <개정 2011. 7. 28., 2016. 5. 29.>
② 제1항에 따라 자연공원을 지정ㆍ관리하는 환경부장관, 특별시장ㆍ광역시장ㆍ특별자치시장ㆍ도지사 또는 특별자치도지사 및 시장ㆍ군수 또는 자치구의 구청장(이하 “공원관리청”이라 한다)은 자연공원을 지정하려는 경우에는 지정대상 지역의 자연생태계, 생물자원, 경관의 현황ㆍ특성, 지형, 토지 이용 상황 등 그 지정에 필요한 사항을 조사하여야 한다. <개정 2016. 5. 29.>
https://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gseed82&logNo=2795932502
녹색건축 : 네이버 블로그
녹색건축인증, 친환경 컨설팅 전문기업으로 저탄소 녹색성장의 실현을 위해 노력하는 (주)녹색건축인증연구소가 되겠습니다. 대표 이송호 ㅣ 대표전화 1566-9578 / FAX 02-556-8534 ㅣ 주소 서울특별시
blog.naver.com
https://gseed1004.blogspot.com/2023/03/lid-low-impact-development.html
LID 저영향개발(Low Impact Development) 사업 대상과 이점
LID 저영향개발(Low Impact Development) 사업 대상과 이점 반갑습니다.녹색건축인증 블로그입니다. 이번주 잘 보내고 계신가요? 벚꽃도 피고 길거리가 화려해지고 있는 요즘입니다. 4월되면 본격적인
gseed1004.blogspot.com
https://gseed1004.tistory.com/7247?category=538678
매화동 복지회관 BF인증 장애물없는생활환경
매화동 복지회관 BF인증 장애물없는생활환경 인증 현장사진 매화동 복지회관 BF인증 장애물없는생활환경 https://youtu.be/GLizMWpMI6E https://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stto1004&logNo=223043952925 https:
gseed1004.tistory.com
경로당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예비인증,본인증(bf)
회사에서 진행한 경로당 -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예비인증,본인증(bf) 현장사진 입니다. https://youtu.be/AnnTtRaDKhg https://blog.naver.com/stto1004/223043973409 https://gseeds2.com/bbs/board.php?bo_table=field_gallery&wr_id=48&
gseed1004.tistory.com
https://gseeds2.com/biz/biz_1_1_2.html
녹색건축 녹색건축인증 녹색인증 BEMS G-SEED gseed BF인증
녹색건축인증(G-SEED)-지속가능한 개발의 실현을 목표로 건축물의 환경성능을 인증하는 제도, 녹색건축인증 인센티브-용적률,건축물 높이 제한완화,지방세 감면
gseeds2.com
녹색건축인증 조성법' 및 '건물에너지 소비증명제'가 의무화되어 시행되고 있습니다. 저희 (주) 녹색건축인증연구소는 '지속가능한 저탄소 녹색건축인증 기술연구소'의 전문기업으로 설립되어, 빠른 제도 변화와 변모하는 건설환경에 이바지하고자 합니다. (주) 녹색건축연구소는 건축, 도시, 생태분야가 녹색건축물에 접목될 수 있도록 적절한 요소분석을 통해 에너지 절감형 건축, 자생적 생태환경, 온열환경, 빛환경의 면밀한 조사와 연구로 고객의 삶의 질 향상 및 더 나아가 인류의 존속성에 그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녹색건축인증연구소는 친환경컨설팅 전문업체로 주택성능등급, 그린홈, 에너지소비총량제, 에너지성능지표검토서, 건물에너지효율등급, 장수명주택인증, CPTED, BF 인증 등 각종 친환경 건축물 인증 을 컨설팅 해드리고 있습니다. 녹색건축인증 의 선도기업이 되겠습니다
728x90반응형'정부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친환경건축물 인증 제도 LEED 소개 및 국내 인증 사례 (0) 2023.05.03 장애물없는 생활환경 인증(BF인증) 뜻 - 인증 사례에 대해서 알아보자 (0) 2023.04.30 승강기 안전관리법 시행령[시행 2022. 3. 8.] (0) 2023.04.28 승강기 안전관리법 시행규칙[시행 2022. 3. 2.] (0) 2023.04.28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의 설립 및 운영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시행 2022. 1. 13.] (0) 2023.0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