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
-
환경과 지속 가능성을 위한 건축의 미래, LEED 인증의 중요성정부소식 2023. 12. 20. 10:02
LEED란 무엇인가요? LEED(Leadership in Energy and Environmental Design)는 미국에서 개발된 건축물의 에너지와 환경에 대한 지속 가능한 설계와 운영을 촉진하기 위한 인증 시스템입니다. 이 시스템은 건물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기준을 적용하고, 환경에 도움이 되는 건축물을 인증하여 사용자에게 안정적이고 건강한 환경을 제공합니다. LEED 인증의 종류 LEED 인증은 건축물의 유형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주택, 상업 건물, 학교, 병원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LEED 인증은 다양한 기준 및 점수체계를 통해 건물의 성능을 평가하며, 해당 점수에 따라 브론즈, 실버, 골드, 플래티넘 등의 레벨로 인증을 받을 수 있습니다. LEED 인..
-
저영향개발 LID 의 이점과 개념 요약정부소식 2023. 6. 13. 10:15
Low Impact Development 안녕하세요! 저희는 오늘 Low Impact Development (LID)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 글을 통해 LID의 개념, 원리, 이점 등을 살펴볼 예정입니다. 개념 LID는 기존의 개발방식에서 벗어나,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도시 및 지역을 발전시키는 방법입니다. 빗물 저장시설, 침수지역, 비버댐 등을 이용하여 지속적인 침수를 방지하고 물을 재활용하며 지하 수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합니다. 이를 통해 도시 및 지역에서 일어나는 환경 오염 문제 및 자연재해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습니다. 원리 LID는 ‘친환경적 설계’를 기반으로 합니다. 기존의 개발방식에서는 도시 및 지역의 개발을 위해서 대규모인 공사를 추진하였습니다. 이러한 공사와 개발 활동으로 인해 노출되는 ..
-
지속가능한 건축-친환경적이며 지구를 생각하는 미래 지향적인 건축 방식정부소식 2023. 6. 5. 10:27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의 이야기는 바로 지속가능한 건축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이 주제는 한 번쯤 들어보셨을 텐데요, 우리가 살아가며 마주하는 많은 건물들이 과연 지속가능한 건축물인지에 대해 같이 생각해볼까요? 지속가능성의 중요성 지속가능한 건축이 중요한 이유가 뭘까요?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 우리는 지구의 미래와 환경 문제를 생각해 보아야 합니다. 환경 문제와 건축 현대 사회에서는 많은 환경 문제가 존재합니다. 기후변화와 온실가스 배출 등 척수등거치, 우리가 대처해야 할 문제들이 산적해 있습니다. 여기서 조금 더 주목해야 할 사실은 건물들이 이러한 환경 문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점입니다. 건물은 제작 과정부터 사용 기간 동안 에너지 소비와 온실가스 배출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지속가능한 건축 방식을..
-
기후변화와 녹색성장 - 대책은 무엇일까? 지속가능한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길정부소식 2023. 4. 2. 12:03
안녕하세요, 여러분 녹색건축인증 입니다. 여러분은 기후변화와 환경문제에 대해서 얼마나 생각하고 계신가요? 늘, 뉴스에서는 기상이변으로 몇 십년 만에 폭설이 왔다는 등, 몇 년만의 가뭄이 찾아 왔다 라는 소식을 자주 접할 수 있는데요. 이런 기후변화의 주요 원인이 지구온난화 때문이라고 합니다. 또한 지구온난화 는 인간활동에 따른 환경파괴 와 환경오염을 원인으로 들수 있겠죠. 오늘은 늘 와 닿지 않는 먼 이야기 일 것만 같이 들리는 환경문제, 그리고 기후변화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환경은 그 누구의 소유물도, 파괴할 수 있는 대상도 아니다. 환경을 지키는 것이야말로 우리 모두의 책임과 의무이다. 모히트 아가디 기후변화란? 기후 변화는 지구 온난화로 인해 나타나는 결과로, 기후 시스템..
-
물환경보전법 시행규칙[시행 2022. 3. 31.]정부소식 2023. 2. 9. 11:14
[시행 2022. 3. 31.] [환경부령 제979호, 2022. 3. 31., 타법개정] 제1장 총칙 제1조(목적) 이 규칙은 「물환경보전법」 및 같은 법 시행령에서 위임된 사항과 그 시행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기타수질오염원) 「물환경보전법」(이하 “법”이라 한다) 제2조제3호에 따른 기타수질오염원은 별표 1과 같다. [제목개정 2015. 6. 16.] 제3조(수질오염물질) 법 제2조제7호에 따른 수질오염물질은 별표 2와 같다. 제4조(특정수질유해물질) 법 제2조제8호에 따른 특정수질유해물질은 별표 3과 같다. 제5조(공공수역) 법 제2조제9호에서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수로”란 다음 각 호의 수로를 말한다. 1. 지하수로 2. 농업용 수로 3. 「하수도법」 제2조제6호..
-
대도시권 광역교통 관리에 관한 특별법[시행 2023. 5. 16.]정부소식 2023. 1. 18. 11:52
[시행 2023. 5. 16.] [법률 제19049호, 2022. 11. 15., 일부개정] 제1조(목적) 이 법은 대도시권의 교통문제를 광역적(廣域的)인 차원에서 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전문개정 2012. 1. 17.] 제2조(정의) 이 법에서 사용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1. “대도시권”이란 「지방자치법」 제2조제1항제1호에 따른 특별시ㆍ광역시 및 그 도시와 같은 교통생활권에 있는 지역 중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지역을 말한다. 2. “광역교통시설”이란 대도시권의 광역적인 교통 수요를 처리하기 위한 교통시설로서 다음 각 목의 시설을 말한다. 가. 둘 이상의 특별시ㆍ광역시ㆍ특별자치시 및 도(이하 “시ㆍ도”라 한다)에 걸치는 도로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요건..
-
도로법[시행 2022. 12. 11.]정부소식 2022. 11. 16. 10:43
[시행 2022. 12. 11.] [법률 제18940호, 2022. 6. 10., 일부개정] 제1장 총칙 제1조(목적) 이 법은 도로망의 계획수립, 도로 노선의 지정, 도로공사의 시행과 도로의 시설 기준, 도로의 관리ㆍ보전 및 비용 부담 등에 관한 사항을 규정하여 국민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도로의 건설과 공공복리의 향상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1. “도로”란 차도, 보도(步道), 자전거도로, 측도(側道), 터널, 교량, 육교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시설로 구성된 것으로서 제10조에 열거된 것을 말하며, 도로의 부속물을 포함한다. 2. “도로의 부속물”이란 도로관리청이 도로의 편리한 이용과 안전 및 원활한 도로교통의 확보, ..
-
건설기술 진흥법[시행 2022. 6. 10.]정부소식 2022. 7. 26. 09:38
[시행 2022. 6. 10.] [법률 제18933호, 2022. 6. 10., 일부개정] 제1장 총칙 제1조(목적) 이 법은 건설기술의 연구ㆍ개발을 촉진하여 건설기술 수준을 향상시키고 이를 바탕으로 관련 산업을 진흥하여 건설공사가 적정하게 시행되도록 함과 아울러 건설공사의 품질을 높이고 안전을 확보함으로써 공공복리의 증진과 국민경제의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1. “건설공사”란 「건설산업기본법」 제2조제4호에 따른 건설공사를 말한다. 2. “건설기술”이란 다음 각 목의 사항에 관한 기술을 말한다. 다만, 「산업안전보건법」에서 근로자의 안전에 관하여 따로 정하고 있는 사항은 제외한다. 가. 건설공사에 관한 계획ㆍ조사(지반조사를 포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