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동주택 거주자의 에너지 사용행태 및 에너지 절약의식 분석연구논문 2018. 7. 18. 17:51반응형
공동주택 거주자의 에너지 사용행태 및 에너지 절약의식 분석
저자 이윤재, 이현수, 박소윤
소속 연세대학교
학술지정보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KCI KCI Candidate
발행정보 한국주거학회 2011년
자료제공처 국회도서관 KISTI 건축도시연구정보센터 학지사 뉴논문 한국연구재단
<초록>본 연구의 세부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동주택 거주자들의 에너지 사용 행태 특성 및 에너지 절약 의식을 조사 분석 한다. 둘째, 공동주택 거주자들의 에너지 사용행태 특성 및 에너지 절약 의식을 성별, 연령별, 소득별,교육수준별, 가족 생활주기별 등 거주자 특성에 따라 조사 분석한다. 셋째, 분석결과를 토대로 공동주택 거주자들의 에너지 사용행태의 문제점을 파악한다.본 연구 결과는 거주자의 에너지 사용행태를 파악하여 거주자를 중심으로 가정 부문 에너지 절감 방안을 구축 하기위한 자료로 사용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energy use behaviors and energy saving consciousness of multi-family housing residents. The energy referred to in this study includes electric energy, heating energy and water usage.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a survey carried out in Seoul and Gyeonggi-do.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survey questions, the only positive energy saving behaviors shown by the occupants was turning off the lights and the television, and in the use of kitchen appliances; it could therefore be concluded that, in general, energy saving attitude and consciousness were not sufficient to reduce energy consumption. Second, the results showed high mean scores for the behaviors which were easy to control, such as turning off lights and televisions, and low mean scores for the behaviors which required extra effort to completely cut off electricity energy such as pulling out the plugs of electronic appliances. Third, it was found that the occupants generally showed the tendency to save heating energy. However, in cases where the occupants were required to continuously and directly experience indoor temperatures, they expressed passive attitudes toward saving energy. Fourth, they showed wasteful attitudes toward water usage by leaving the tap running when taking showers and washing their faces. Fifth, while they showed a strong energy saving consciousness, they also showed a passive attitude about putting this into practice; there was therefore some gap between attitude and behavior. Lastly, among the socio-demographic factors, age and family lifecycle were very important factors affecting energy use and energy saving consciousness.
<목차>
공동주택 거주자의 에너지 사용행태 및 에너지 절약의식 분석 / 이윤재 ; 이현수 ; 박소윤 1
Abstract 1
I.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II. 연구범위 및 연구방법 2
III. 이론적 고찰 2
1. 에너지 절약 2
2. 에너지 소비행태 관련 선행연구 2
IV. 연구결과 3
1. 조사대상 특성 3
2. 공동주택 거주자의 에너지 사용행태와 절약의식 4
3. 공동주택 거주자 특성에 따른 에너지 사용행태 6
4. 공동주택 거주자 특성에 따른 에너지 절약의식 8
V. 결론 10
REFERENCES 12녹색건축인증 조성법' 및 '건물에너지 소비증명제'가 의무화되어 시행되고 있습니다. 저희 (주)녹색건축인증연구소는 '지속가능한 저탄소 녹색건축인증 기술연구소'의 전문기업으로 설립되어, 빠른 제도 변화와 변모하는 건설환경에 이바지하고자 합니다. (주)녹색건축인증연구소는 건축, 도시, 생태분야가 녹색건축물에 접목될 수 있도록 적절한 요소분석을 통해 에너지 절감형 건축, 자생적 생태환경, 온열환경, 빛환경의 면밀한 조사와 연구로 고객의 삶의 질 향상 및 더 나아가 인류의 존속성에 그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728x90반응형'연구논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질오염총량관리제 시행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계획 수립시 고려사항 (0) 2018.07.18 플로팅 건축 상부시설에서 모듈러 시스템 적용 유럽 사례 연구 (0) 2018.07.18 스마트홈 표준화 현황 및 추진전략 (0) 2018.07.13 에너지 측면의 스마트 그린시티 계획기법에 관한 연구 : 행복도시의 적용실태를 중심으로 (0) 2018.07.13 대기환경보전법 [시행 2018.11.29.] [법률 제15096호, 2017.11.28., 일부개정] (0) 2018.07.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