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너지 측면의 스마트 그린시티 계획기법에 관한 연구 : 행복도시의 적용실태를 중심으로연구논문 2018. 7. 13. 18:05반응형
에너지 측면의 스마트 그린시티 계획기법에 관한 연구 : 행복도시의 적용실태를 중심으로
(A)Study on the Energy Planning Technique of Smart Green City : Focus on Application Condition in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Korea
저자 오덕성, 박소연, 이서정
소속 오덕성, 박소연, 이서정
학술지정보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KCI
발행정보 한국산학기술학회 2015년자료제공처 국회도서관 KISTI 한국연구재단
주제분야 공학 > 공학일반
<초록>
본 연구는 스마트 그린시티의 목표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에너지 측면의 계획기법과 적용기술을 정리하고, 국내에서 가장 먼저 스마트 그린시티 계획을 수립한 행복도시를 분석함으로서 스마트 그린시티 계획의 실현방안을 정립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첫째,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스마트 그린시티의 개념을 정의하고, 3개 목표, 3개 부문, 6개 기본방향을 설정하였다. 둘째, 선행연구 분석과 스마트 그린시티 목표와 계획기법의 기대효과의 연관성을 고려한 전문가 브레인스토밍을 통하여 18개 계획기법을 도출하였다. 셋째, 행복도시를 대상으로 도출된 계획기법의 적용실태를 기반여건 조성과 기술 및 시스템 도입 측면으로 파악하였다. 그 결과, 스마트 그린시티 조성을 위한 주요 계획기법은 '도시 에너지 통합관리 센터 구축', '건축물 에너지 관리 시스템', '빌딩 자동화 시스템', '녹색교통 체계 구축', '지능형 교통 시스템', '친환경 교통수단 보급', 등 건축물 에너지 소비 절감과 지능형 녹색 교통 시스템 구축에 관련된 계획기법으로 도출되었으며 향후 개선 방안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energy planning techniques of Smart Green City and to establish the realized plan through the analysis of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For the research, eighteen planning techniques were derived and categorized into three sectors and six basic direction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Brain-storming analysis considering correlation between three goals of Smart Green City and expectation of planning technique. And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was analyzed for the current status of application of planning techniques focus on two application aspects. In conclusion, 'Establishing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for Urban Energy',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Building Automation System', 'Green Transport System', 'Intelligent Transport System', 'Introduction of Eco-friendly Transportation' planning techniques in reduction of building energy consumption sector and green-intelligent transport system sector were identified as important techniques for Smart Green City.
녹색건축인증 조성법' 및 '건물에너지 소비증명제'가 의무화되어 시행되고 있습니다. 저희 (주)녹색건축인증연구소는 '지속가능한 저탄소 녹색건축인증 기술연구소'의 전문기업으로 설립되어, 빠른 제도 변화와 변모하는 건설환경에 이바지하고자 합니다. (주)녹색건축인증연구소는 건축, 도시, 생태분야가 녹색건축물에 접목될 수 있도록 적절한 요소분석을 통해 에너지 절감형 건축, 자생적 생태환경, 온열환경, 빛환경의 면밀한 조사와 연구로 고객의 삶의 질 향상 및 더 나아가 인류의 존속성에 그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728x90반응형'연구논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동주택 거주자의 에너지 사용행태 및 에너지 절약의식 분석 (0) 2018.07.18 스마트홈 표준화 현황 및 추진전략 (0) 2018.07.13 대기환경보전법 [시행 2018.11.29.] [법률 제15096호, 2017.11.28., 일부개정] (0) 2018.07.13 대기환경보전법 시행령 (0) 2018.07.11 환경영향평가법 시행령 (0) 2018.0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