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옥상녹화에 따른 공동주택 에너지 저감효과 분석 연구연구논문 2017. 5. 25. 14:30반응형
옥상녹화에 따른 공동주택 에너지 저감효과 분석 연구
An analysis of energy reduction effects in housing according to green roof
저자명 김지현, 손형민, 권혁삼, 김정곤, 이범식
문서유형 학술논문
학술지 LHI journal of land, housing, and urban affairs vol.7 no.4 (2016년 10월) 299-305 2093-8829
발행정보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2016년 |한국 |한국어
주제분야 사회과학 > 금융/재정
서지링크 국회도서관 (청구기호 711 L689) , KISTI
<초록>
본 연구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계획적 수단으로서 옥상녹화에 따른 건축물 에너지 저감효과를 분석하여 옥상녹화 적용확대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대상지는 최근 준공된 공동주택 중 옥상녹화가 적용된 주동과 부대복리시설을 선정하였다. 건축 유형에 따라 경량형(토심 20cm) 및 혼합형(토심 40cm) 옥상녹화를 적용하고, 디자인 빌더(Design Builder)를 활용하여 옥상녹화 적용에 따른 에너지 저감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모든 대상 건축물에서 옥상녹화 적용시 에너지 저감효과가 있으며, 혼합형 옥상녹화가 경량형 옥상녹화에 비해 냉 난방 에너지 저감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expanding application of green roof afforestation by analyzing structures' energy consumption reduction effects according to green roof afforestation as a planning means to cope with climate change. As the subjects, recently completed apartment buildings and service facilities of apartment houses where green roof afforestation was applied were selected. green roof afforestation of Extensive Green Roof(soil depth: 20cm) and Semi-Intensive Green Roof(soil depth: 40cm) in construction types was applied and design builders were utilized in order to compare energy reduction amount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green roof afforesta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all the buildings had energy reduction effect when green roof afforestation was applied.
녹색건축인증 조성법' 및 '건물에너지 소비증명제'가 의무화되어 시행되고 있습니다. 저희 (주)녹색건축인증연구소는 '지속가능한 저탄소 녹색건축인증 기술연구소'의 전문기업으로 설립되어, 빠른 제도 변화와 변모하는 건설환경에 이바지하고자 합니다. (주)녹색건축인증연구소는 건축, 도시, 생태분야가 녹색건축물에 접목될 수 있도록 적절한 요소분석을 통해 에너지 절감형 건축, 자생적 생태환경, 온열환경, 빛환경의 면밀한 조사와 연구로 고객의 삶의 질 향상 및 더 나아가 인류의 존속성에 그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한국 녹색 인증원 녹색 건축 인증 연구소 그린 빌딩 녹색 건축 인증 녹색성장 친환경 신재생에너지 패시브하우스 BESS BEMS 장수명주택인증 ESS 친환경 인증 그린홈 건물에너지
728x90반응형'연구논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내 원자력 격납건물 시스템 및 검사 현황 (0) 2017.05.26 다단계 최적화 수법을 이용한 열원 설비 설계법에 관한 연구 (0) 2017.05.26 국내 친환경건축물관련 인증제도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0) 2017.05.25 아파트단지의 입지유형별 주동향에 따른 일조분석 (0) 2017.05.24 계층분석법을 이용한 녹색건축 인증제도 평가항목의 중요도 분석 : 공동주택 인증기준을 중심으로 (0) 2017.0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