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 Comparative Study on Office Building Criteria between G-SEED and LEED연구논문 2016. 12. 5. 14:58반응형
A Comparative Study on Office Building Criteria between G-SEED and LEED
저자명 Mok Seon-Soo, Cho Dong-Woo, Park Ah-Reum
문서유형 학술논문참고문헌5건학술지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논문집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학회논문집 제14권 제1호 59p ~ 66p 1598-3730 KCI
발행정보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2014년 |한국 |영어
주제분야 공학 > 건축공학
서지링크 DBpia , KISTI , 건축도시연구정보센터
G-SEED aims for establishing green environmental building with energy saving and has started for evaluating with multi-residential complex in 2002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 Transport (MOLIT) and the Ministry of Environment to develop the current 10 building types and new & existing building types to be applied. Since G-SEED has been developed for more than 10 years, the strategy of globalization is needed with constant review itself and comparison between other assessments to understand current situation from the global perspectives.
This study draw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G-SEED and LEED criteria by the comparison from re-constructed LEED criteria based on G-SEED. "Energy & Pollution" is the most concerned category in both assessments as the result of analysis on category rates. Next concerns are "Material & Resources", "Indoor Environment" and "Water Management". The unique categories in both criteria are "Ecological Environment" in G-SEED and "Innovation & Design Process" in LEED. The conclusion of this research is that two assessments are organized at different locations and with different strategies for developing green building but there are common concerns such as energy saving, material use, indoor environment. As a result, it is expected to use fundamental data for developing G-SEED for global standard.
<목차>Abstract1. Introduction2. Theoretical Review3. Comparison of Certification Criteria between G-SEED and LEED4. ConclusionReferences
녹색건축인증 조성법' 및 '건물에너지 소비증명제'가 의무화되어 시행되고 있습니다. 저희 (주)녹색건축인증연구소는 '지속가능한 저탄소 녹색건축인증 기술연구소'의 전문기업으로 설립되어, 빠른 제도 변화와 변모하는 건설환경에 이바지하고자 합니다. (주)녹색건축인증연구소는 건축, 도시, 생태분야가 녹색건축물에 접목될 수 있도록 적절한 요소분석을 통해 에너지 절감형 건축, 자생적 생태환경, 온열환경, 빛환경의 면밀한 조사와 연구로 고객의 삶의 질 향상 및 더 나아가 인류의 존속성에 그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한국 녹색 인증원 녹색 건축 인증 연구소 그린 빌딩 녹색 건축 인증 녹색성장 친환경 신재생에너지 패시브하우스 BESS BEMS 장수명주택인증 ESS 친환경 인증 그린홈 건물에너지 셉테드 CPTED BF인증 gseed
728x90반응형'연구논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시농업 활성화를 위한 생태면적률 제도개선에 관한 연구 -단지내 일조조건 분석을 중심으로 (0) 2016.12.07 한국의 사전재해영향성검토 제도운영 개선방안 연구 (0) 2016.12.07 소규모 철근콘크리트 모멘트골조 건축물의 초과강도, 연성도 및 반응수정계수 (0) 2016.12.05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제도 평가지표 개선방향 연구 : 건축물분야 인증지표를 중심으로 (0) 2016.12.02 MC설계를 적용한 장수명주택 인필의 계획특성에 관한 연구 (0) 2016.1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