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사 및 일조 분석을 위한 일영면적 계산 알고리즘의 개발과 적용연구논문 2019. 12. 4. 10:23반응형
일사 및 일조 분석을 위한 일영면적 계산 알고리즘의 개발과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hadow Areas Calculation Algorithm for Analysis of Solar Access and Irradiance
저자 김용이
소속 군산대학교
학술지정보 학술발표대회논문집
발행정보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3년
피인용횟수 0
자료제공처 기계·건설공학연구정보센터 학술교육원 건축도시연구정보센터 NRF
주제분야 공학 > 건축공학
<초록>
일영은 건축환경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인자이므로 항상 관심의 대상이다. 본 연구는 태양의 위치를 태양 방위각과 태양 고도로 표현된 지평좌표계를 대신하여 직교좌표계 상의 단위 벡터로 표현하는 것과 Blinn이 제시한 projection shadows 알고리즘을 고찰한다. 또한 GPC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건물에 의한 일영 다각형에 관련한 연산할 수 있게 한다. 본 연구에서 도입된 일영 알고리즘으로 복잡한 형상을 가진 골조의 온실에 대해서도 일조시간을 분석하였다. 본 논문의 목적은 일영 분석에 수학적 배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Shadow is always being one of the most attractive subjects because of its important role in the field of architectural environment. This paper covers the expression of solar position by means of a unit vector in cartesian coordinate system, instead of horizontal coordinate system with solar azimuth and solar altitude, and shadow rendering algorithm which is presented by Blinn named projection shadows. And GPC(general polygon clipper library) is used for operations on many sets of shadow polygons produced by opaque buildings. The shadow algorithm introduced in this paper is applied to analyze the probable sunlight hours of green house with engineered beams which are complex shaped.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provide readers with mathematical background and insight on shadows calculation to allow them to choose the algorithm best suited to their needs.
녹색건축인증 조성법' 및 '건물에너지 소비증명제'가 의무화되어 시행되고 있습니다. 저희 (주)녹색건축인증연구소는 '지속가능한 저탄소 녹색건축인증 기술연구소'의 전문기업으로 설립되어, 빠른 제도 변화와 변모하는 건설환경에 이바지하고자 합니다. (주)녹색건축인증연구소는 건축, 도시, 생태분야가 녹색건축물에 접목될 수 있도록 적절한 요소분석을 통해 에너지절감형 건축, 자생적 생태환경, 온열환경, 빛환경의 면밀한 조사와 연구로 고객의 삶의 질 향상 및 더 나아가 인류의 존속성에 그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728x90반응형'연구논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재생에너지 성장의 영향요인 연구 : FIT와 RPS의 효과성 검증을 중심으로 (0) 2019.12.05 실내 건축자재 및 생활 가공제품 중 천연방사성핵종(238U, 232Th)의농도 평가를 위한 분석법 연구 (0) 2019.12.05 제주도 해상풍력 에너지 자원평가를 위한 InVEST Offshore Wind 모형 적용 (0) 2019.12.04 전통한옥의 친환경성 평가에 관한 연구 (0) 2019.12.04 사후평가를 통한 녹색건축인증제도 개선방향 연구 - 서울, 경기, 인천지역 학교시설을 중심으로 (0) 2019.1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