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외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 실내 환경 관련 부문 비교분석 및 개선안 연구연구논문 2019. 6. 7. 11:07반응형
국내외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 실내 환경 관련 부문 비교분석 및 개선안 연구
A Study on the Comparative Analysis and Improvement of Indoor Environmental Factor in Green Building Rating Systems
저자 조한
소속 홍익대학교학술지정보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KCI
발행정보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6년
자료제공처 국회도서관 KISTI 건축도시연구정보센터 한국연구재단
주제분야 예술체육 > 디자인<초록>
친환경 건축실무를 권장하기 위해서 각국은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를 개발 시행하고 있다. 최근들어 두통, 현기증, 만성피로등 각종 증상에 대한 사용자의 불만이 많아 지면서 실내환경의 질에 많은 관심들이 모아지고 있으면, 이러한 증상들은 오염된 실내환경에 기인한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이러한 문맥에서 실내환경의 질은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 평가 항목중에서 제일 중요한 요소로 여겨지고 있으며, 건물 사용자의 실질적인 행복과 연관되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GBCC), 미국의 LEED v2.1,과 영국의 BREEAM Office 2005의 세가지 인증제도의 실내환경 부문을 비교 분석하여 국내 인증제도를 개선하는 방향을 찾는 것이다. 먼저, 각 인증제도의 전반적인 구성원을 분석하여 실내환경 부문의 중요성을 확인한다, 두번째로, 실내환경 부문을 평가항목별로 재분류하여 비교 분석할 수 있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비교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국내 인증제도의 실내환경 부문의 발전 방향을 모색한다.To promote environmentally responsible architectural practice, many nations have established their own green building rating system. Among other criteria, recently the indoor environmental quality section has been paid great attention due to Sick Building Syndrome, as this believed to caused by polluted indoor environment. In this context, indoor environmental quality is one of very important sections of each green building rating system and closely related to the very happiness of building users.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indoor environmental sections of three green building rating systems, GBCC, LEED v2.1, and BREEAM Office 2005, and find a direction for the improvement of GBCC. First, the three rating systems are analyzed in general to compare the importance of indoor environmental factors in each system. Second, the indoor environmental factors are reclassified within related sub-categories for the comparable analysis. Finally, based upon the comparable analysis, directions for the improvement of GBCC are as follows: 1. GBCC's h4r Environment Section needs to clarify its VOCs criteria based upon types of finish materials. 2. Sound Environment Section's noise control criteria needs to be revised based upon types of building usages and application method. 3. An indoor lighting related section needs to be included in GBCC, as even though light is the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indoor environment, it has not been included in GBCC yet. 4. The sub-section of Confortable Indoor Environment Section related to the resting space and the universal accessibility are not in accord with the goal of green building rating system. These items need to be dealt within general building codes. 5. The rating evaluation structure and process need to be streamlined.
<목차>
국내외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 실내 환경 관련 부문 비교분석 및 개선안 연구 / 조한 1
Abstract 1
1. 서론 1
1.1. 연구의 목적 및 의의 1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2. 국내외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 비교 2
2.1. GBCC 2
2.2. LEED v2.1 2
2.3. BREEAM 3
3. 각 인증제도별 실내 환경부문 평가항목 비교 4
3.1. 각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 부문별 비교 4
3.2. 실내 환경 부문별 평가 항목 비교 4
4. 실내환경 평가항목별 세부 평가기준 5
4.1. 공기환경 -VOCs 저 방출 자재 사용 기준 비교 5
4.2. 공기환경 -건축자재로부터 배출되는 유해물질억제 6
4.3. 음 환경 - 외부 소음에 대한 실내허용 소음 6
4.4. 빛 환경-LEED v2.1과 BREEAM Office 2005 비교 6
4.5. 쾌적한 실내 환경 6
4.6. 노약자에 대한 배려 7
5. 결론 7
참고문헌 8녹색건축인증 조성법' 및 '건물에너지 소비증명제'가 의무화되어 시행되고 있습니다. 저희 (주)녹색건축인증연구소는 '지속가능한 저탄소 녹색건축인증 기술연구소'의 전문기업으로 설립되어, 빠른 제도 변화와 변모하는 건설환경에 이바지하고자 합니다. (주)녹색건축인증연구소는 건축, 도시, 생태분야가 녹색건축물에 접목될 수 있도록 적절한 요소분석을 통해 에너지절감형 건축, 자생적 생태환경, 온열환경, 빛환경의 면밀한 조사와 연구로 고객의 삶의 질 향상 및 더 나아가 인류의 존속성에 그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728x90반응형'연구논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IoT 기반 지역난방 열에너지 통합 관리시스템 개발 (0) 2019.06.10 부재 그룹과 하중 조합을 고려한 고층건물 변위조절 설계법 (0) 2019.06.10 수력발전소 건물 소음저감대책 연구 (0) 2019.06.07 집중기획 : 건축환경 및 에너지 신기술 개발 동향] 초단열 진공창 (0) 2019.06.07 도시환경에서 방사성물질의 오염평가 모델개발 (0) 2019.0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