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재생에너지와 원자력에너지 정책네트워크 비교분석연구논문 2019. 2. 25. 10:09반응형
신재생에너지와 원자력에너지 정책네트워크 비교분석
저자 정연미, 한준
소속 중앙대학교 DAAD-독일유럽연구센터 연구교수, 서울대학교 아시아에너지환경지속가능발전연구소 객원연구원
학술지정보 ECO KCI
발행정보 한국환경사회학회 2014년
자료제공처 국회도서관 NRF
주제분야 사회과학 > 사회학 , 공학 > 환경공학
#에너지정책, #신재생에너지정책, #원자력정책, #정책네트워크, #사회연결망분석, #녹색건축인증연구소
<초록>
본 연구는 신재생에너지와 원자력에너지 정책에 대한 연대, 갈등 정책네트워크의 정부, 기업, 시민사회의 관심과 입장, 정책행위자간 상호작용, 관계구조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신재생에너지와 원자력에너지 정책분야에 참여하고 있는 134개 주요 정책행위자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한 자료를 바탕으로 사회연결망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정부, 기업, 시민사회 정책행위자는 신재생에너지 정책에 대해서는 찬성하였으나, 원자력에너지 정책에 대해서는 찬성과 반대의 입장이 양분되어 있었다. 신재생에너지와 원자력에너지 정책네트워크 모두에서 연대를 위한 상호작용이 갈등보다 활발하였다. 연결중심성 상위 10위 정책행위자들은 신재생에너지 정책에 대해서는 정부와 시민사회부문의 연대가 활발한 반면, 원자력에너지 정책에 대해서는 시민사회만 연대하는 경향이 있었고, 신재생에너지와 원자력에너지 정책 모두에서 정부와의 갈등이 컸다. 결국 원자력에너지 정책은 신재생에너지 정책에 비해 상호작용이 활발하지 않으며, 정부와 시민사회간의 갈등이 크고, 시민사회와 다른 부문과의 상호작용이 활발하지 않은 특징을 보이고 있다.
녹색건축인증 조성법' 및 '건물에너지 소비증명제'가 의무화되어 시행되고 있습니다. 저희 (주)녹색건축인증연구소는 '지속가능한 저탄소 녹색건축인증 기술연구소'의 전문기업으로 설립되어, 빠른 제도 변화와 변모하는 건설환경에 이바지하고자 합니다. (주)녹색건축인증연구소는 건축, 도시, 생태분야가 녹색건축물에 접목될 수 있도록 적절한 요소분석을 통해 에너지절감형 건축, 자생적 생태환경, 온열환경, 빛환경의 면밀한 조사와 연구로 고객의 삶의 질 향상 및 더 나아가 인류의 존속성에 그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728x90반응형'연구논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지규모 풍력에너지 평가를 위한 기상 관측 자료의 영향 반경 특성 (0) 2019.02.26 코넬 공과대학 기숙사 사례를 통한대학 기숙사의 패시브 하우스 기술 적용에 관한 연구 (0) 2019.02.25 무선센서네트워크 기반 온실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구현 (0) 2019.02.25 학교 실내공기질 및 건강 영향 (0) 2019.02.22 레스토랑의 친환경 인증기준의 필요성과 지속가능성 방안 연구 (0) 2019.0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