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계 오염총량관리제와 환경영향평가제도의 통합운영방안연구논문 2018. 8. 13. 12:04반응형
수계 오염총량관리제와 환경영향평가제도의 통합운영방안
Integration of Total Pollution Load Management System and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related System
저자 이종호소속 청주대학교학술지정보환경영향평가 KCI
발행정보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03년
자료제공처 국회도서관 KISTI 한국학술정보 국립중앙도서관 한국연구재단
주제분야 공학 > 환경공학수계 오염총량관리제와 환경영향평가제도의 통합운영방안.pdf
<초록>
The total pollution load management system of watershed has been implemented upon Special Law pertaining to the Han River Watershed Water Quality Improvement and Residents Support, Special Law pertaining to the Nakdong River Watershed Water Management and Residents Support, Special Law pertaining to the Youngsan River Watershed Water Management and Residents Support, and Special Law pertaining to the Seomjin River Watershed Water Management and Residents Support in Korea since 2002. But many other similar systems with total pollution load management system of watershed are being operated separately or independently, even though its purpose is nearly same with those of the total maximum pollutants load management in Law on Water Quality Environmental Protectio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EIA) in Law of Impact Assessment on Environment, Transportation and Disaster and Pre-environmental assessment of Environmental Policy Act. Therefore the contents of total pollution load management system of watershed and many other related systems could be overlapped and at some times have inconsistency among them. This study suggests first the integrated operation of total pollution load management system of watershed, EIA, pre-environmental assessment, urban planning, and sewage planning and secondly EIA system development by integration of EIA and pre-environmental assessment and strategic environmental assessment(SEA).
<목차>
수계 오염총량관리제와 환경영향평가제도의 통합운영방안 / 이종호 1
Abstract 1
I. 서론 2
II. 오염총량관리제의 의의와 관련제도 2
1. 의의와 근거 2
2. 오염총량관리제 운영과정 4
3. 오염총량관리제 유사 제도와 환경영향 평가제도 4
III. 오염총량관리제의 운영상 문제점 6
1. 환경영향평가 및 사전환경성검토제도와 대상과 평가항목의 중복 6
2. 도시(기본)계획과 하수도정비(기본)계획과 중복 7
3. 수계별 상이한 운영 7
IV. 오염총량관리제와 환경영향평가 제도의 통합운영 7
1. 단기적 방안 7
2. 장기적 방안 : 환경영향평가와 사전환경성검토제도의 통합과 전략환경평가의 강화 8
V. 결론 9
참고문헌 9녹색건축인증 조성법' 및 '건물에너지 소비증명제'가 의무화되어 시행되고 있습니다. 저희 (주)녹색건축인증연구소는 '지속가능한 저탄소 녹색건축인증 기술연구소'의 전문기업으로 설립되어, 빠른 제도 변화와 변모하는 건설환경에 이바지하고자 합니다. (주)녹색건축인증연구소는 건축, 도시, 생태분야가 녹색건축물에 접목될 수 있도록 적절한 요소분석을 통해 에너지 절감형 건축, 자생적 생태환경, 온열환경, 빛환경의 면밀한 조사와 연구로 고객의 삶의 질 향상 및 더 나아가 인류의 존속성에 그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728x90반응형'연구논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Rapid Visual Screening을 통한 국내 고층건물의 테러 위험도 분석 (0) 2018.08.14 건물 일조시간 계산방법(점,면)에 관한 비교연구 (0) 2018.08.13 생태학적 디자인을 기반으로 한 근 미래형 친환경주택연구 (0) 2018.08.13 다중이용시설의 실내공기 우수시설 인증제도 (0) 2018.08.10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CPTED)과 시큐리티시스템(Security System) 간 연계방안 (0) 2018.0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