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탄소성적표시 건축 재료의 환경 효율성 분석 연구 : 바닥 마감재를 중심으로연구논문 2017. 9. 1. 15:02반응형
탄소성적표시 건축 재료의 환경 효율성 분석 연구 : 바닥 마감재를 중심으로
A Study on Analyzing Eco-efficiency of Carbon Labeled Building Materials - Focused on Floor Finishes
저자명 최지혜, 이윤선, 김재준
문서유형 학술논문
참고문헌 22건
학술지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제25권 제2호 (2014. 4) pp.71-78 2234-3571
발행정보 한국주거학회 |2014년 |한국 |한국어
주제분야 사회과학 > 가정학
서지링크 국회도서관 , KISTI , 건축도시연구정보센터 , 학지사 뉴논문 , 한국연구재단
<초록>
유엔기후변화협약을 시작으로 온실가스배출 감소와 에너지 목표 달성을 위해 정부의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정부는 2020년 배출전망치(BAU)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을30% 감축하겠다는 목표를 발표했고, 그 중 건설업의 감축목표량은 0.23백만 톤 CO2e로 7.1%의 감축목표가 설정되었다.건축물의 환경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건축물을 구성하고 있는 재료와 소비 에너지를 줄이는 것이 우선시되어야하며, 현재 지속가능한 건축 재료 개발을 위한 연구들이 활발히 수행되고 있다.이러한 산업과 학계에서의 연구결과들이 실제 국민 경제의 가치창출활동에 활용될 수 있도록 정부에서는 녹색제품의 구매를 촉진해왔다. 환경부 발표에 따르면 2012년 공공기관에서 녹색제품 구매 또는 사용으로 저감한 이산화탄소(CO2)는 약 49만 1000 톤으로 추산되며, 이를 경제적 편익으로 환산하면 약 74억 원의 이득효과를 얻었다고 하였다.민간 소비자들의 녹색구매활동을 지원하기 위해서도2009년부터 탄소성적표지 제도가 도입되어왔다. 그러나<Figure 1>에서 보듯이 최근 통계청 발표에 의하면 소비자들이 환경문제에 심각성을 느끼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저탄소 제품 등의 구매로 이어지지 않고 있다고 조사되었다.현재 탄소성적표지제도는 탄소발생량 정보만을 표시하고 있는데, 이는 소비자가 제품구매에 있어 실질적으로고려하는 경제적 측면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것에 기인한다.본 논문의 목적은 건설자재의 경제적 가치와 환경적 가치를 비교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여 소비자들의 구매의사결정과정을 지원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현재 탄소성적표시제품 인증현황을 조사하고 건설자재의 경제성 대비환경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In recent years, Korean government has focused on improving the environmental impact of products in order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and to achieve their energy goals. The government has been conducting the following polices such as green procurement inducement and certification system. After carbon labeling was conducted in 2009, among a total of 1,065 items, 97 building materials have been given a certification: finishing materials items have the highest weight (56%). The increase in the certification numbers shows that there has been considerable technical efforts in the building material industry. At the awareness of carbon label and purchase of low carbon product, however, customers are aware of carbon labeling but the purchasing rate of carbon product is low. In this paper, we suggest that low carbon activities must also be considered in order to create client value by adding the concept of ecological efficienc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to measurer the eco-efficiency of carbon labeled building materials on the basis of environmental aspects of the product with the perspective of economy for purchasing the excellent products.
<목차>I. 서 론II. 문헌 연구III. 건축자재 탄소성적표시 인증 현황 조사IV. 탄소성적표지 건축 바닥마감재 환경효율성 분석V. 결 론REFERENCES
녹색건축인증 조성법' 및 '건물에너지 소비증명제'가 의무화되어 시행되고 있습니다. 저희 (주)녹색건축인증연구소는 '지속가능한 저탄소 녹색건축인증 기술연구소'의 전문기업으로 설립되어, 빠른 제도 변화와 변모하는 건설환경에 이바지하고자 합니다. (주)녹색건축인증연구소는 건축, 도시, 생태분야가 녹색건축물에 접목될 수 있도록 적절한 요소분석을 통해 에너지 절감형 건축, 자생적 생태환경, 온열환경, 빛환경의 면밀한 조사와 연구로 고객의 삶의 질 향상 및 더 나아가 인류의 존속성에 그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한국 녹색 인증원 녹색
728x90반응형'연구논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동주택에서 외피단열성능기준 강화에 따른 건축물에너지 효율등급 변화에 관한 연구 (0) 2017.09.04 탄소성적표시 건축 재료의 환경 효율성 분석 연구 : 바닥 마감재를 중심으로 (0) 2017.09.01 ISO 13790 기반 패시브하우스 에너지 해석 프로그램 에너지샵(Energy#) 소개 (0) 2017.09.01 그린리모델링 사업 활성화를 위한 발주방식 제안 (0) 2017.08.31 중국의 녹색건축인증 현황에 대한 기초조사 연구 (0) 2017.0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