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르베르크-슐츠의 건축 현상학이 갖는 의의와 한계연구논문 2017. 8. 29. 14:45반응형
노르베르크-슐츠의 건축 현상학이 갖는 의의와 한계
A Study on the Meaning and Limitations of Architectural Phenomenology of Norberg-Schulz
저자명 정태용
문서유형 학술논문
학술지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5권 6호 통권119호 (2016. 12) 89-97 1229-7992
발행정보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6년 |한국 |한국어
주제분야 예술체육 > 디자인
서지링크 국회도서관 (청구기호 747 ㅅ588) , KISTI
<초록>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view Norberg-Schulz's architectural phenomenology to find out its meaning and limitations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His phenomenological trilogy, 'Existence, Space and Architecture', 'Genius Loci' and 'The Concept of Dwelling' are main texts to examine background, characteristics, meaning and limitations of his theory in relation to Structuralism and Heidegger's thoughts. Heidegger's phenomenology, especially his dwelling concept, had great impacts on forming Norberg-Schulz's architectural phenomenology. However, since his architectural phenomenology was strongly influenced by Structuralism, his theories present unstable combination of phenomenology and semiotics. And this results in instrumentalization, and overlooking body movement and socio-economical elements in his theory. In spite of these limitations, his theory also shows possibility to go beyond the theory of Modern architecture and plays important role in suggesting direction for better environment through applicability from single building to city in Postmodern architecture. Another meaning of his theory lies in presenting theoretical background for new way to interpret regionalism and specific policy tool to make town planning in Finland.
녹색건축인증 조성법' 및 '건물에너지 소비증명제'가 의무화되어 시행되고 있습니다. 저희 (주)녹색건축인증연구소는 '지속가능한 저탄소 녹색건축인증 기술연구소'의 전문기업으로 설립되어, 빠른 제도 변화와 변모하는 건설환경에 이바지하고자 합니다. (주)녹색건축인증연구소는 건축, 도시, 생태분야가 녹색건축물에 접목될 수 있도록 적절한 요소분석을 통해 에너지 절감형 건축, 자생적 생태환경, 온열환경, 빛환경의 면밀한 조사와 연구로 고객의 삶의 질 향상 및 더 나아가 인류의 존속성에 그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한국 녹색 인증원 녹색
728x90반응형'연구논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경모니터링 기술 (0) 2017.08.30 실물옵션 기법을 활용한 신재생에너지사업 경제성분석에 관한 연구 (0) 2017.08.29 한국형 피난 시뮬레이션 모델 개발을 위한 PED기반 피난해석 및 휴먼모델 설계 (0) 2017.08.28 환경유해인자 표시제도 등 어린이용품 관리방안 마련연구 (0) 2017.08.28 실험적 MR댐퍼 모델을 사용한 1/4 차량 진동 시뮬레이션 (0) 2017.08.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