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환경평가제도의 세부적 평가기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교육시설의 입지적 측면을 중심으로연구논문 2017. 3. 31. 13:02반응형
교육환경평가제도의 세부적 평가기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교육시설의 입지적 측면을 중심으로
A Study of the Improvement on Method and Detailed Criteria for Education Environment Evaluation -Focused on School Location-
저자명 김형돈
문서유형 학술논문학술지 교육환경연구: 한국교육환경연구원학술지 11(2) 38-50 1598-3765
발행정보 한국교육녹색환경연구원 |2012년 |한국어
주제분야 교육 > 교육학
서지링크 KISTI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ment proposal on Item and Detailed Method for Education Environment Evaluation, Focused on School Locatio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Research on Location Theory and relation Law 2. Improving research by School Experts(Health&construction& administration) 3. Present a Detailed quantitative assessment criteria 4. Pilot Survey on Education Environment Evaluation So, this result will be used in decision-making-process of land use planning, public land development construction, urban design and city policy.
녹색건축인증 조성법' 및 '건물에너지 소비증명제'가 의무화되어 시행되고 있습니다. 저희 (주)녹색건축인증연구소는 '지속가능한 저탄소 녹색건축인증 기술연구소'의 전문기업으로 설립되어, 빠른 제도 변화와 변모하는 건설환경에 이바지하고자 합니다. (주)녹색건축인증연구소는 건축, 도시, 생태분야가 녹색건축물에 접목될 수 있도록 적절한 요소분석을 통해 에너지 절감형 건축, 자생적 생태환경, 온열환경, 빛환경의 면밀한 조사와 연구로 고객의 삶의 질 향상 및 더 나아가 인류의 존속성에 그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한국 녹색 인증원 녹색 건축 인증 연구소 그린 빌딩 녹색 건축 인증 녹색성장 친환경 신재생에너지 패시브하우스 BESS BEMS 장수명주택인증 ESS 친환경 인증 그린홈 건물에너지 셉테드 CPTED BF인증 gseed
728x90반응형'연구논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어컨 배관을 이용한 지능형 빌딩 제어용 통신 시스템 개발 (0) 2017.04.03 에너지 저감형 그린홈 프로토타이핑을 위한 설계요소 분석 연구 (0) 2017.04.03 건축물에너지효율등급 평가프로그램에 의한 공동주택 난방에너지 소요량과 실제 사용량 비교 (0) 2017.03.31 영산강 하구역 수질환경 관리를 위한 GIS기반 통합정보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0) 2017.03.30 실내 공기질 개선을 위한 나노/바이오 에어로졸 입자측정 및 저감기술 (0) 2017.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