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표면 온도차 비율(TDRi) 분석을 통한 현대 신한옥 외벽 모서리 부위 단열성능 평가연구논문 2017. 3. 1. 09:04반응형
내표면 온도차 비율(TDRi) 분석을 통한 현대 신한옥 외벽 모서리 부위 단열성능 평가
Thermal Performance Evaluation at corners of the External wall of Modern New Han-oks using Temperature Difference Ratio inside
저자명 이주엽, 송민정, 이태강, 김선우, 천득염
문서유형 학술논문학술지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논문집 v.16 n.3 통권79호
발행정보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2016년 |한국 |한국어
주제분야 공학 > 건축공학
서지링크 국회도서관 , DBpia , KISTI
Recently, many New Han-oks have been constructing in all over the country to popularize as a type of green house. But, achievement of thermal performance of external wall is still the very important issue to become popula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thermal performance level of modern New Han-ok through Temperature Difference Ratio inside(TDRi) analysis at corners of the external wall in Han-ok. Method: To achieve this goal, measurements were carried out in 12 Han-oks(experimental mock-up(1), exhibition Han-ok(1), happy village Han-oks(10)) by taking a infra-red thermography using thermal video system. Following are analysis items about connection joint between wall and wood columns of external wall conditions; the part between external wall and external wall(2D), external wall and ceiling(or floor)(2D), 2 external walls and ceiling(or floor)(3D) and so on. Result: It was analyzed that the probability of condensation at most of connection joint appear high and TDRi of 3D corners is higher than that of 2D corners in general. It means that the development of construction techniques about connection joint between wood columns and external wall is still requi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used to improve the construction technology of new Han-ok and as a basis for the specifying the desired thermal comfort environment of dwelling
<목차>
ABSTRACT1. 서론2. 평가 방법 및 내용3. 내표면 온도차 비율(TDRi) 평가 분석4. 결론참고문헌
녹색건축인증 조성법' 및 '건물에너지 소비증명제'가 의무화되어 시행되고 있습니다. 저희 (주)녹색건축인증연구소는 '지속가능한 저탄소 녹색건축인증 기술연구소'의 전문기업으로 설립되어, 빠른 제도 변화와 변모하는 건설환경에 이바지하고자 합니다. (주)녹색건축인증연구소는 건축, 도시, 생태분야가 녹색건축물에 접목될 수 있도록 적절한 요소분석을 통해 에너지 절감형 건축, 자생적 생태환경, 온열환경, 빛환경의 면밀한 조사와 연구로 고객의 삶의 질 향상 및 더 나아가 인류의 존속성에 그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한국 녹색 인증원 녹색 건축 인증 연구소 그린 빌딩 녹색 건축 인증 녹색성장 친환경 신재생에너지 패시브하우스 BESS BEMS 장수명주택인증 ESS 친환경 인증 그린홈 건물에너지 셉테드 CPTED BF인증 gseed
728x90반응형'연구논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PMSG 풍력발전시스템에서 전원 저전압 발생시 비틀림 진동 동특성 시뮬레이션 및 실험 (0) 2017.03.02 에너지소비와 경제성장의 동태적 인과관계 (0) 2017.03.02 BEMS 서비스 관련 해외연구동향 (0) 2017.03.01 대구경 사격소음 전달 영향인자에 대한 실험적 분석 (0) 2017.02.28 도로시설물의 전과정 탄소배출량 산정을 위한 시공단계 탄소배출원단위 구축 (0) 2017.0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