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친환경 인증 제도를 통한 국내 초고층 주거건축의 친환경성 평가 연구연구논문 2020. 2. 7. 09:58반응형
친환경 인증 제도를 통한 국내 초고층 주거건축의 친환경성 평가 연구
A Study on the Environment-friendly Quality Evaluation of High-rise Residential Architecture in Korea by Environment-friendly Certification
저자 김자경
소속 한양사이버대학교 공간디자인학과 조교수
학술지정보 KIEAE Journal
발행정보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2008년
자료제공처 국회도서관 KISTI 기계·건설공학연구정보센터 건축도시연구정보센터 NRF
주제분야 예술체육 > 건축학 , 자연과학 > 생태학 , 공학 > 건축공학
#친환경인증제도, #초고층주거건축, #친환경초고층건축, #녹색건축인증연구소
<초록>
As horizontal expansion of a city reaches the uppermost limit, on the ground of perpendicular expansion and efficiency of land use, skyscrapers go on increasing in number. However, skyscrapers which were newly built in Korea have many problems such as consumption of enormous amounts of energy, destruction of natural environment, and traffic jam. And from now on, environment-friendly development of skyscraper is urgently needed. Therefore, in this study, we tried to find the planning elements and estimation indexes to improve the environment-friendly quality of high-rise residential architecture by investigating environment-friendly skyscraper certification in Korea and the other countries. For that reason, we investigated the application ratios of 10 cases in Korea. 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pplication ratios of environment-friendly estimation indexes were lower than 50% and the environment-friendly quality of skyscrapers in Korea was generally low. Therefore, based on these planning elements and estimation indexes, we tried to establish the guideline of improvement direction for environment-friendly development of high-rise residential architecture in Korea.
녹색건축인증 조성법' 및 '건물에너지 소비증명제'가 의무화되어 시행되고 있습니다. 저희 (주)녹색건축인증연구소는 '지속가능한 저탄소 녹색건축인증 기술연구소'의 전문기업으로 설립되어, 빠른 제도 변화와 변모하는 건설환경에 이바지하고자 합니다. (주)녹색건축인증연구소는 건축, 도시, 생태분야가 녹색건축물에 접목될 수 있도록 적절한 요소분석을 통해 에너지절감형 건축, 자생적 생태환경, 온열환경, 빛환경의 면밀한 조사와 연구로 고객의 삶의 질 향상 및 더 나아가 인류의 존속성에 그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728x90반응형'연구논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터뷰 - "국책연구소로서 성찰 깊이 더해 미래 건축도시정책, 새로운 10년 만들어가야죠" _ 박소현 건축도시공간연구소장 (0) 2020.02.07 BIM을 적용한 목조건축문화재 기록데이터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0) 2020.02.07 주거용 건물의 에너지 실사용량의 불확실성을 내포한 설명변수 인자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정량화 방법 - 서울지역의 공동주택을 중심으로 (0) 2020.02.06 차세대 장수명 공동주택의 가변성능향상을 위한 건축요소기술 우선순위결정에 관한 연구 (0) 2020.02.06 조망이익의 침해와 보호범위 : 건물신축에 의한 시야차단으로 인한 압박감(개방감 상실)을 조망이익 이외의 별도의 독자적인 권리나 보호법익으로 볼 (0) 2020.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