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속 가능한(Sustainable) 도시발전을 위한 방범환경설계(CPTED)의 전략과 향후 과제연구논문 2018. 8. 17. 15:04반응형
지속 가능한(Sustainable) 도시발전을 위한 방범환경설계(CPTED)의 전략과 향후 과제
The Strategy and Prospects of CPTED for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저자 박현호, 김영제소속용인대학교, 연세대학교학술지정보한국경호경비학회지 KCI발행정보 한국경호경비학회 2008년
주제분야 사회과학 > 기타사회학
<초록>
본 논문에서는 지속 가능한 도시개발과 범죄예방전략과의 상호 연관성을 중심으로 논의한다. 건강 안전도시에 따른 지속 가능한 도시발전에는 규제라는 이미지, 혹은 개인의 건강과 지역사회 안전에 실질적인 위협이 되는 범죄 및 범죄 두려움에 대한 합법적 통제라는 이미지를 내포하고 있다. 도시설계자들은 도시 환경에 대하여 지속 가능한 도시발전에 대한 개념을 인식하고 이를 실제 범죄예방전략으로 적용하려는 노력을 시도하고 있다. 많은 도시설계자들은 도시 환경의 개선을 통해 범죄 발생 및 범죄에 대한 두려움을 감소시켜 줄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하여 연구하여 왔으며, 이에 대한 선행연구의 결과들은 방범환경설계(CPTED)의 적용을 통한 범죄 및 범죄 두려움 저감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들을 보여주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 우리나라에서 활발히 논의되고 도시관리 측면에서 적용되고 있는 범죄예방전략의 하나인 CPTED가 보다 더 안전하고 지속 가능한 도시사회를 만드는데 유용한 전략이 되기 위하여 필요한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This paper discusses how the strategies for crime prevention are interrelated to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The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for healthy and safe cities implies regulations or legal, lawful control to reduce fear of crime and prevent substantial threats to health and safety of individual persons as well as of the community. City planners attempt to apply to the strategies for crime prevention their perception of what the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should be with respect to urban environment. Many planners have studied on the possibility of reduction in fear of crime and actual crimes through environmental improvement. The results of their preliminary studies provide specific suggestions to reduce crimes and fear of crime by application of CPTED. This study proposes alternatives in policy necessary for CPTED, which is one of the strategies for crime prevention, to take its place as a useful strategy for making the urban societies safe and sustainable.
<목차>
Ⅰ. 서론 #10;Ⅱ. 이론적 배경 #10;Ⅲ. CPTED의 전략과 최근 동향 #10;Ⅳ. 방범환경설계(CPTED)의 발전방안과 과제 #10;Ⅴ. 결론 참 고 문 헌녹색건축인증 조성법' 및 '건물에너지 소비증명제'가 의무화되어 시행되고 있습니다. 저희 (주)녹색건축인증연구소는 '지속가능한 저탄소 녹색건축인증 기술연구소'의 전문기업으로 설립되어, 빠른 제도 변화와 변모하는 건설환경에 이바지하고자 합니다. (주)녹색건축인증연구소는 건축, 도시, 생태분야가 녹색건축물에 접목될 수 있도록 적절한 요소분석을 통해 에너지 절감형 건축, 자생적 생태환경, 온열환경, 빛환경의 면밀한 조사와 연구로 고객의 삶의 질 향상 및 더 나아가 인류의 존속성에 그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728x90반응형'연구논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산업기술대학교의 녹색캠퍼스 구축에 따른 탄소중립 방안에 대한 연구 (0) 2018.08.20 현 건축환경의 변화없는 BIM기법 도입은 새로운 독이 될 수 있다 (0) 2018.08.17 노인복지관의 무장애공간 설계에 관한 연구 : 충북지역 소재 노인복지관을 중심으로 (0) 2018.08.17 공간자료 구축을 위한 BIM/GIS 표준정보 기반 건축도시통합모델(iBUM)의 개발에 관한 기초연구 (0) 2018.08.16 대온도차 공조시스템과 리모델링 적용 (0) 2018.08.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