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축물 에너지효율등급 인증제도 의무화 대비 전문인력 양성에 대한 연구연구논문 2017. 11. 2. 15:13반응형
건축물 에너지효율등급 인증제도 의무화 대비 전문인력 양성에 대한 연구
Study on Training of Specialist to prepare Mandatory Building Energy Efficiency Rating Ssytem
저자 장철용, 한혜심, 이나은
발행정보 한국태양에너지학회 2011년
피인용횟수 1
자료제공처 KISTI 기계·건설공학연구정보센터 건축도시연구정보센터
주제분야 공학 > 공학일반
<초록>
Until now, measures for energy saving in buildings have been tried. Because particularly the role of buildings area is very important for implementing national greenhouse gas reduction targets and Green growth. But, lack of business linkages between each sector or the interest and participation of private sector are not enough. In addition, relevant personnel to do had not been systematized. It is expected that certification services will be increased according to the activation of Building Energy Efficiency Rating System and expansion of the target buildings so Government must be prepared to expand of certification system by training Professional staff. In this study, the basic data for the introduction of obligation of Building Energy Efficiency Rating System is suggested through analysis of the operating and laws system of Building Energy Efficiency Rating System along with efforts of Government for diffusion low energy buildings.
<목차>
Abstract
1. 서론
2. 국내 건축물 에너지효율등급 인증제도
3. 국외 건축물 에너지효율 인증제도 및 운영체계
4. 전문가 설문조사 결과
5. 결론
후기
참고문헌녹색건축인증 조성법' 및 '건물에너지 소비증명제'가 의무화되어 시행되고 있습니다. 저희 (주)녹색건축인증연구소는 '지속가능한 저탄소 녹색건축인증 기술연구소'의 전문기업으로 설립되어, 빠른 제도 변화와 변모하는 건설환경에 이바지하고자 합니다. (주)녹색건축인증연구소는 건축, 도시, 생태분야가 녹색건축물에 접목될 수 있도록 적절한 요소분석을 통해 에너지 절감형 건축, 자생적 생태환경, 온열환경, 빛환경의 면밀한 조사와 연구로 고객의 삶의 질 향상 및 더 나아가 인류의 존속성에 그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한국 녹색 인증원 녹색
728x90반응형'연구논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층간소음 해외 기준 및 측정 평가 방법 (0) 2017.11.03 태양 일조량 변화에 따른 HALE UAV의 동력 수집/분배/제어 특성 연구 (0) 2017.11.03 개량분기기 인근의 소음진동 시뮬레이션 (0) 2017.11.02 한국과 홍콩의 공동주택 친환경 인증제도의 비교분석 연구 (0) 2017.11.01 멀티플랫폼을 지원하는 지능형 건축 CAD 엔진 및 뷰어 개발 (0) 2017.1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