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정상 담체와 은나노 모래여과를 이용한 이중 공정에서 처리수의 중수도 활용에 관한 연구연구논문 2017. 10. 18. 15:29반응형
고정상 담체와 은나노 모래여과를 이용한 이중 공정에서 처리수의 중수도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Effluent Treated by Double Process Using Fixed-media and Sand Filter Coated by Nano Silver for Wastewater Reclamation and Reusing System
저자 선용호
학술지정보 KSBB Journal KCI KCI Candidate
발행정보 한국생물공학회 2006년
피인용횟수 1
자료제공처 국회도서관 KISTI 의학연구정보센터 국립중앙도서관 학술교육원 한국연구재단
주제분야 의약학 > 생명공학
<초록>
본 연구는 다가올 물 부족에 따른 하나의 대안으로서 중수도 시스템에 초점을 맞추어, 생활오수를 이용하여 혐기/무산소/호기조의 $A^2O$ 생물막 공법으로 구성된 상향류식 고정상 담체 반응기로 처리한 오수를 하향류식 은나노 모래여과 반응기에 다시 연속 통과시켜 이중 처리하여 얻은 처리수를 중수도에 활용이 가능하지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중 공정 후 배출수의 pH는 $7.39{\sim}8.06$(평균 7.84) 범위이었고, $CODMn은 $8{\sim}18mg/L$(평균 12.1 mg/L), BOD5는 $2.1{\sim}10mg/L$(평균 4.9 mg/L)로 중수도 수질 기준에 적합하였다. SS는 $3{\sim}9mg/L$의 범위로 평균 농도가 4.95 mg/L를 나타내면서 SS 제거율이 94.8%로 대부분 법적 기준치 5 mg/L 이하로 처리되어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대장균군 수의 평균 제거율이 99.1%이었으며, 배출수의 평균 대장균 군수는 65 MPN/100mL이 검출되었으나 중수도 수질 기준에는 불검출로 되어 있으므로 완벽한 제거를 위해서는 0.2 mg/L 이상의 결합잔류염소의 양을 고려한 염소 처리를 하여야 한다. SEM 사진으로부터 은모래 표면에서는 박테리아가 존재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외에 중수도 수질 기준에 포함될 가능성이 있는 총질소 및 총인의 제거율은 각각 50.3%와 27.2%이었다.
<목차>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실험재료 및 장치
실험방법
결과 및 고찰
중수도 수질 기준
수온 및 pH, DO의 변화 특성
유기물의 제거 특성
부유물질 제거 특성
영양염 제거 양상
대장균군 (E-coliform group)
요약
REFERENCES녹색건축인증 조성법' 및 '건물에너지 소비증명제'가 의무화되어 시행되고 있습니다. 저희 (주)녹색건축인증연구소는 '지속가능한 저탄소 녹색건축인증 기술연구소'의 전문기업으로 설립되어, 빠른 제도 변화와 변모하는 건설환경에 이바지하고자 합니다. (주)녹색건축인증연구소는 건축, 도시, 생태분야가 녹색건축물에 접목될 수 있도록 적절한 요소분석을 통해 에너지 절감형 건축, 자생적 생태환경, 온열환경, 빛환경의 면밀한 조사와 연구로 고객의 삶의 질 향상 및 더 나아가 인류의 존속성에 그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한국 녹색 인증원 녹색
728x90반응형'연구논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도 system 구성을 위한 중공사막의 표면개질 (0) 2017.10.19 실내공기질 관리를 위한 친환경 건축자재 인증제도 (0) 2017.10.19 항공기소음 측정 및 평가 (0) 2017.10.18 항공기소음 측정 및 평가 (0) 2017.10.17 여름철 대도심 학교교실의 실내공기환경 측정연구 (0) 2017.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