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초고층 랜드마크의 공간적 거리 및 인지강도와의 상관성 분석 : 서울시 30층 이상 고층건물을 대상으로연구논문 2017. 3. 17. 13:06반응형
초고층 랜드마크의 공간적 거리 및 인지강도와의 상관성 분석 : 서울시 30층 이상 고층건물을 대상으로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Spatial Distance and Cognitive Intensity of High-rise Buildings - Focusing on High-rise Buildings of More than 30 Stories in Seoul -
저자명 변재상, 임승빈, 주신하
소속기관 신구대학 환경조경과
문서유형 학술논문
참고문헌 53건
인용된횟수 도움말 11건
학술지 한국조경학회지 제35권 제4호 통권123호 (2007년 10월) pp.90-104 1225-1755
발행정보 한국조경학회 |2007년 |한국 |한국어
주제분야 농수해양 > 조경학
서지링크 국회도서관 (청구기호 712 ㅎ155) , KISTI
초고층 랜드마크의 공간적 거리 및 인지강도와의 상관성 분석 .pdf
Landmarks like high-rise building are one of the important elements for the enhancement of city identity and provides the hierarchy of city streets, playing a central and symbolic role in cities. Research on physical attribute of landmarks, such as height, distance, location and shape, which are suitable for a city scale, can help a city create a distinct image and maintain comprehensible structure. To achieve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spatial and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a landmark for th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i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level of representativeness of a landmark increases in proportion to the degree of cognitive intensity on it. The relation between representativeness and cognitive intensity can be explained as the log-function as follows: Log(the number of people who respond "It has representativeness")=$-1.2579+1.5908{\times} $(cognitive intensity);
2. There are a few differences based on the attributes of respondents: while gender has no distinct influence, residential period and age show statistically meaningful influence on cognitive intensity of a vertical landmark Cognitive intensity of an individual landmarks especially, differs according to the class of main users. Because of frequent changes in occupation or employment, respondents consider the distance from a residential area more important than the distance from a working area in evaluating cognitive intensity of landmarks;
3. landmark can be classified into two kinds: a district landmark and an urban landmark A district landmark is closely connected with physical attributes of the landmark itself, such as distance, size and height. An urban landmark is mainly related to cognitive attributes such as the image and identity of a city as a whole. As a result, the landmark analysis data in this research provides spatial order and identity in a city. It is difficult to establish and reinforce the image of a city as a single element ike a landmark. However, withy steady follow-up research, this study could be seen as a systematic and logical model to improve urban landscape and image.
<목차>
초고층 랜드마크의 공간적 거리 및 인지강도와의 상관성 분석 : 서울시 30층 이상 고층건물을 대상으로 / 변재상 ; 임승빈 ; 주신하 1
ABSTRACT 1
I.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II. 관련연구의 동향 2
1. 도시 이미지 구성 요소 및 분석에 관한 연구 2
2. 초고층 랜드마크 건축물에 관한 연구 3
III. 연구방법 3
1. 랜드마크의 정의 4
2. 용어의 정의 4
3. 연구 가설 4
4. 연구대상 5
5. 피험자 특성 5
6. 설문항목 5
7. 분석 방법 7
IV. 결과 및 고찰 7
1. 인지강도와 대표성과의 상관관계 7
2. 표본 특성에 따른 인지 강도의 차이 검증 8
3. 도시적 랜드마크와 지구적 랜드마크의 구분 9
4. 랜드마크 구분 가능성의 타당성 검증 10
V. 결론 12
[주] 13
인용문헌 14
녹색건축인증 조성법' 및 '건물에너지 소비증명제'가 의무화되어 시행되고 있습니다. 저희 (주)녹색건축인증연구소는 '지속가능한 저탄소 녹색건축인증 기술연구소'의 전문기업으로 설립되어, 빠른 제도 변화와 변모하는 건설환경에 이바지하고자 합니다. (주)녹색건축인증연구소는 건축, 도시, 생태분야가 녹색건축물에 접목될 수 있도록 적절한 요소분석을 통해 에너지 절감형 건축, 자생적 생태환경, 온열환경, 빛환경의 면밀한 조사와 연구로 고객의 삶의 질 향상 및 더 나아가 인류의 존속성에 그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한국 녹색 인증원 녹색 건축 인증 연구소 그린 빌딩 녹색 건축 인증 녹색성장 친환경 신재생에너지 패시브하우스 BESS BEMS 장수명주택인증 ESS 친환경 인증 그린홈 건물에너지 셉테드 CPTED BF인증 gseed
728x90반응형'연구논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규모 복합건축물의 한국형 피난시뮬레이션 개발을 위한 연구 (0) 2017.03.21 선박화재 시뮬레이션을 위한 도구 분석과 적용에 관한 연구 (0) 2017.03.21 진동측정에 따른 한옥 건축물의 고유주기 (0) 2017.03.17 태양열 시스템의 개요 및 기술개발 현황 (0) 2017.03.17 친환경 건축물을 위한 통합 건설사업관리 방안 : 친환경 건설사업관리(Green CM) (0) 2017.0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