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arrier Free 보행안전시설 계획연구논문 2017. 3. 7. 13:27반응형
Barrier Free 보행안전시설 계획
Planning of Barrier Free Pedestrian Safety Devices
저자명 남두희
문서유형 학술논문참고문헌9건학술지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제13권 제2호 (2013. 4)
발행정보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13년 |한국 |한국어
주제분야 공학 > 전자/정보통신공학
서지링크 국회도서관 , KISTI , 학술교육원
저출산과 고령화에 따른 교통약자의 증가에 따라 베리어프리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고령화 현상은 세계적인 추세로 변화하는 사회여건을 고려하고 발전하는 유비쿼터스 기술을 이용한 교통안전시설과 이동지원시설의 설치가 필요한 시점이다.
장애인, 노약자를 위한 이동성 향상을 위하여 최근 급진적으로 발전되고 있는 IT기술을 활용하여 제거 또는 감소시켜 줌으로써 Barrier Free 환경이 구축되도록 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유비쿼터스 기술의 적용을 위하여 보행 및 안전지원시스템의 도입 필요성 및 도입시 필요한 고려사항에 대한 검토결과를 제시한다. 해외 기술개발 사례를 분석하여 향후 도로 및 보행환경에서의 유비쿼터스 기술의 도입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도입 방안을 검토하였다.
Population aging is a shift in the distribution of a country's population towards older ages. This is usually reflected in an increase in the population's mean and median ages, a decline in the proportion of the population composed of children, and a rise in the proportion of the population that is elderly. Population ageing is widespread across the world. Barrier-free or Design for All concept consists of modifying buildings or facilities so that they can be used by people who are disabled or have physical impairments.
Design for All criteria are aimed at ensuring that everyone can participate in the Information society. Safety-related products being easy to adapt according to different needs, or using standardized interfaces that can be accessed simply by using assistive technology. To this end, policy makers and service providers, especially in the ubiquitous technologies, produce new technologies, products, services and applications for pedestrians.
<목차>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국내외 정책 및 연구현황
1. 국내외 교통약자 관련 정책
2. 정보ㆍ통신기술 접근성
Ⅲ. 지능형 안전시설 설치 방안
1. 휴대단말기를 통한 안전시설 안내
2. Marker를 이용한 안전시설 지능화
3. 영상검지를 이용한 경로안내 및 안전시설 안내
4. 센터 및 단말기 운영방안
Ⅳ. 교차로 지능화 방안
1. Accessible Pedestrian Signal
2. 보행자 감지체계
3. 정책 추진 방안
Ⅴ. 결론
참고문헌녹색건축인증 조성법' 및 '건물에너지 소비증명제'가 의무화되어 시행되고 있습니다. 저희 (주)녹색건축인증연구소는 '지속가능한 저탄소 녹색건축인증 기술연구소'의 전문기업으로 설립되어, 빠른 제도 변화와 변모하는 건설환경에 이바지하고자 합니다. (주)녹색건축인증연구소는 건축, 도시, 생태분야가 녹색건축물에 접목될 수 있도록 적절한 요소분석을 통해 에너지 절감형 건축, 자생적 생태환경, 온열환경, 빛환경의 면밀한 조사와 연구로 고객의 삶의 질 향상 및 더 나아가 인류의 존속성에 그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한국 녹색 인증원 녹색 건축 인증 연구소 그린 빌딩 녹색 건축 인증 녹색성장 친환경 신재생에너지 패시브하우스 BESS BEMS 장수명주택인증 ESS 친환경 인증 그린홈 건물에너지 셉테드 CPTED BF인증 gseed
728x90반응형'연구논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친환경인증건축물 Trees Atlanta Kendeda Center에 나타난 친환경계획요소의 특징 및 사용자평가 연구 (0) 2017.03.08 녹색기술인증 개요 및 건축부문 신청 사례 (0) 2017.03.08 능동형 방음벽 설계를 위한 고속도로 소음측정 및 분석 (2) (0) 2017.03.07 국제환경기술세미나 코너-병원 실내공기질 관리 현황 및 실내 청정도 검사 (0) 2017.03.03 3상 시스템의 무효전력, 불평형 전류 보상 기능을 갖는 태양광 전력변환장치 설계 (0) 2017.0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