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HP방법론을 이용한 녹색기술 인력정책 방향성 도출연구논문 2016. 10. 7. 14:00반응형
AHP방법론을 이용한 녹색기술 인력정책 방향성 도출
Derivation of HRD Policy Direction in the Field of Green Technology Using AHP Methodology
저자명 이중만
문서유형 학술논문
참고문헌 15건인용된횟수 도움말2건 학술지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6호 (2011년 6월) pp.350-359 1598-4877 KCI
발행정보 한국콘텐츠학회 |2011년 |한국 |한국어
주제분야 공학 > 컴퓨터공학 서지링크국회도서관 (청구기호 384 ㅎ155) , DBpia , KISTI , 국립중앙도서관
본 연구는 녹색 일자리 창출을 위한 과학기술 인재양성에 대해서 정부의 인력정책과제의 우선순위를 도출하였으며, 평가항목 간 중요도 분석을 통한 녹색기술 인력정책 방향성 제시하기 위해, 기획재정부 외 9개 부처에서 발표한 “녹색 일자리 창출 및 인력양성 방안” 핵심 추진과제를 대상으로 계층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37개 세부과제 중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판단된 녹색기술 인력정책과제는 이공계대학(원)의 녹색교육 및 연구역량 강화(0.284), 녹색 사정회적 기업 육성, 학?연 협력 활성화를 통한 녹색교육?연구 연계강화, 녹색 근로자 전환 훈련체제 구축, 전략적 녹색일자리 파트너십 형성 등 인력정책 과제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평가항목의 중요도는 녹색창의성이 0.384로 가장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녹색산업 성장성(0.277), 지속가능 발전성(0.125), 녹색기술 파급효과(0.089), 글로벌 협업(0.084), 녹색문화 확산(0.042) 순으로 제시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HRD programs for the government's priorities and HRD policy direction in the field of green technology to create green jobs. AHP methodology was employed by looking into “green job creation and HRD programs” announced by government. The empirical results showed that the most important one among 37 HRD programs was green education and research capacity building in engineering college and graduate school.
And fostering green social enterprise, green education and research through university-research collaboration, green workers transition training, strategic partnership for green job are presented in order in terms of the importance. It suggested green creativity(0.384), green Industry growth (0.277), s정ustainable development (0.125), green technology spill-over effect (0.089), a global collaboration (0.084 ), and green cultural diffusion (0.042) as a green technology and HRD policy direction.
<목차>
AHP방법론을 이용한 녹색기술 인력정책 방향성 도출 / 이중만 1
요약 1
Abstract 1
I. 서론 2
II. 이론적 배경 2
III. 연구방법론 3
IV. 실증 분석결과 4
1. 평가 계층도 설정(Decision Hierarchy) 5
2. 최종 우선순위(Priority Setting) 5
3. 주요 녹색인력 정책과제의 평가항목간 중요도 6
V. 결어 9
참고문헌 9
저자소개 10녹색건축인증 조성법' 및 '건물에너지 소비증명제'가 의무화되어 시행되고 있습니다. 저희 (주)녹색건축인증연구소는 '지속가능한 저탄소 녹색건축인증 기술연구소'의 전문기업으로 설립되어, 빠른 제도 변화와 변모하는 건설환경에 이바지하고자 합니다. (주)녹색건축인증연구소는 건축, 도시, 생태분야가 녹색건축물에 접목될 수 있도록 적절한 요소분석을 통해 에너지 절감형 건축, 자생적 생태환경, 온열환경, 빛환경의 면밀한 조사와 연구로 고객의 삶의 질 향상 및 더 나아가 인류의 존속성에 그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한국 녹색 인증원 녹색 건축 인증 연구소 그린 빌딩 녹색 건축 인증 녹색성장 친환경 신재생에너지 패시브하우스 BESS BEMS 장수명주택인증 ESS 친환경 인증 그린홈 건물에너지 셉테드 CPTED BF인증 gseed LEED 저탄소 온실가스 주택성능등급 친환경 주택 성능 평가 에너지 효율 에너지 성능 지표 검토서 친환경 건축물 건축물 녹색건축인증연구소 에너지 소비 증명제 ESCO 범죄예방 단열 고효율 제로에너지 스마트 그리드
728x90반응형'연구논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친환경건축자재의 분류체계 및 DB 구축 방안 (0) 2016.10.17 특허 분석을 활용한 ITS 녹색 기술 예측 (0) 2016.10.17 시스템 다이내믹스를 이용한 녹색건축인증제도 활성화 정책의 실효성 평가 (0) 2016.10.07 지하공간의 공조설비 소음진동 대책 (0) 2016.10.07 환경 영향 평가 방법과 환경 영향 평가 시스템 (0) 2016.10.06